190418 Cosmopolitan 2019年5月号
임시완이 완성한 시간

선명하고 완벽한 것 대신 불투명하고 불완전한 것을 인정하는 것부터 시작한 배우 임시완. 그렇게 그는 자신만의 방식대로 시간의 공백을 채우고 있었다.

제대하자마자 인스타그램 계정을 개설했어요.

군대에 있을 때 팬들이 동기, 후임, 선임들과 나눠 먹을 수 있는 선물과 편지를 꾸준히 보내주셨어요. 군대에서는 그런 것들이 정말 힘이 되거든요. 새삼 ‘이 고마운 것을 그동안 당연하게 받았던 게 아니었나’란 생각이 들었어요. 그래서 뭐든 더 많이 보답하며 살아야겠다란 반성도 하게 됐죠. 그런 생각으로 바로 인스타그램을 시작했어요. 팬들과 더 많은 소통을 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기도 했죠.

월급을 모두 기부하고, 재능 기부까지 했다고요.

입대하면서부터 ‘내가 받는 월급은 애초에 내 돈이 아니다’라고 생각했어요. 사회에 환원해야 하는 돈이라고 여겼죠. 어디에 그 돈을 쓰면 좋을까 고민하다가 저희 부대와 결연을 맺은 효촌초등학교에 기부하게 됐어요. 재능 기부는 부대에서 수학을 가르칠 수 있는 사람으로 저를 추천해 하게 된 거고요. 아이를 가르치는 일은 적성에 맞기도 하고, 안 맞기도 했어요. ‘초등학생 때 굳이 이렇게 치열하게 공부해야 하나’라는 생각에 안타까웠거든요. 아이들에게 물어보니까 착하게도 공부를 열심히 해야 한다고 답하더라고요. 그 이유를 스스로 잘 알고 있다는 사실도 신기했어요.

“연기를 오래 하고 싶다”라는 말을 자주 했어요.

연기를 하면 보상이 커서 감사한 마음이 들었지만 그 과정이 너무 힘들어 오래 못 하겠다는 생각을 했거든요. 줄곧 그런 걱정을 하다 연기를 즐길 수 있는 방법으로 터득한 게 ‘적당히 열심히 하는 것’이었어요. 그 방법을 처음 시도했던 영화가 <원라인>이었고, 두 번째 시도가 <불한당: 나쁜 놈들의 세상>(이하 <불한당>)이었죠. <불한당>을 좋게 봐준 분이 많아 확신이 들더라고요. ‘이렇게 하면 되나?’라는 감이 왔을 때 군대를 가 본의 아니게 공백기를 갖게 됐지만요. 과연 그때 느꼈던 대로 또 연기를 할 수 있을지 의구심이 들긴 하지만 일단 해봐야 할 것 같아요.

<불한당>은 개봉한 지 2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마니아들에게 사랑을 받는 영화예요.
촬영 전에는 가장 힘들 것 같다고 생각했던 작품이에요. 근데 되레 촬영할 때 가장 무난했어요. 그런 경험이 되게 색달랐던 데다 이 영화로 제가 칸영화제까지 갔잖아요. 인생에 다시 오지 않을 선물 같은 기회였죠. 다양한 방식으로 연기를 할 수 있겠다 싶은 가능성을 찾은 영화이기도 하고요.

설경구 씨와는 사적으로도 만나는 사이죠.

그냥 저와 ‘케미’가 잘 맞는 분이에요. 작품을 함께 한 사람으로서 일종의 동지애가 느껴지기도 하고요. 촬영할 때 설경구 선배님이 먼저 다가와주셨고, 저 역시 존경심을 갖고 있지만 어렵게 대하고 싶지는 않았어요. 서로 그런 부담이 없었던 것 같아요.

함께 연기한 배우들은 임시완 씨에 대한 칭찬을 아끼지 않아요. 선한 이미지 때문에 제약이 있진 않아요?

그래서 제가 인터뷰할 때마다 “저는 그렇게 착하지 않아요”라고 말씀드리는 거예요. 하하. 저는 연기가 주업인데, 한쪽으로 편중된 이미지를 갖게 되는 건 치명적이라고 생각하거든요. 그래서 그 속에 갇히고 싶지 않아 노력을 했던 것 같아요.

그래서인지 이전보다 훨씬 남자다워진 것 같아요.

입대하면서 ‘몸을 꼭 만들어서 나오자’라고 다짐했어요. 아무래도 이게 마지막이 될 것 같아요. 앞으로는 장담 못 하겠어요. 하하. 몸 만드는 게 너무 힘들어 유지해야겠다는 생각도 안 들어요. 물론 작품에서 이런 몸이 필요하다면 하겠지만…. 하… 이렇게 힘든 걸 누군가는 취미로도 하잖아요. 제가 제일 이해 안 되는 게 ‘운동 중독’이에요. 저에겐 절대 있을 수 없는 단어예요. 스포츠는 좋아하지만 워크아웃은 인고의 시간이 너무 긴 것 같아요.

입대 전에 <인생술집>에 나온 걸 보니 기본적으로 흥이 많은 사람 같더라고요.

맞아요. 노래가 좋아 가수로 데뷔한 거니까요. 요즘에도 혼자 노래방 갈 때가 있어요. 가서 서비스 시간까지 다 채워 노래 부르고 나와요. 제가 즐겨 부르는 노래는 한올의 ‘다시’, 그리고 푹 빠진 노래는 레이디 가가가 부른, <스타 이즈 본> ost인 ‘Shallow’예요. 남자 키로 바꿔 불러요. 영화를 보고 나서 레이디 가가한테 너무 빠졌어요. 그 영화를 보고 고개 숙여 사죄드리고 싶을 정도예요. 그냥 팝스타로만 알고 있었던 것, 죄송합니다!

음악에 대한 미련이 아직 많이 남아 있는 것 같아요. 제국의아이들 멤버들과도 계속 교류하는 편인가요?
그 친구들과는 자주 만나지 못해도 연결돼 있다는 믿음이 있어요. 오랜만에 봐도 계속 봤던 것처럼 친숙하고, 반가워요. 그런 믿음만으로도 충분히 관계는 유지될 수 있다고 생각해요.

형들과 어울리는 걸 더 편하게 생각하는 것 같아요.

실수해도 형들은 이해해줄 거라는 생각이 들거든요. 그렇지만 동생들 앞에서는 실수하면 안 좋은 본보기가 될 수 있을 것 같다는 부담이 있죠.

드라마, 영화에서 주로 남자들과의 케미가 많았어요.

멜로나 로맨스도 너무 하고 싶은데 왜 자꾸 엮이지 않는지 모르겠어요.

차기작이 웹툰 원작인 <타인은 지옥이다>로 정해졌죠?

그 웹툰을 보게 된 계기가 군대 후임 때문이었어요. <타인은 지옥이다>란 웹툰이 있는데 너무 재미있고, 제가 주인공을 맡으면 잘 어울릴 것 같다고 이야기를 하는 거예요. 웹툰을 볼 때는 단순히 독자 입장에서 재미있다고만 생각했지 제가 극 중 인물을 진짜 연기하게 될 줄은 몰랐어요.

이제는 누군가에게 선택받는 배우가 아닌, 작품을 선택하는 배우가 됐어요. 작품을 보는 기준이 달라졌을 것 같은데요.

욕심 같아서는 들어오는 작품을 다 하고 싶어요. 하하. 이제 저한테 또 다른 숙제가 생긴 거예요. 내가 어떤 작품을 선호하는지에 대한 기준을 잡아야 하는 거죠. 지금은 추상적이고 모호한 기준을 갖고 있어요. 대본을 읽었을 때 술술 잘 읽히고, 제가 대본 속에 움직이는 모습이 잘 보여야 한다는 정도죠. 그런데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어요. 대본을 보는 눈을 더 키워야 할 것 같아요.

흔히 배우들은 배역을 두고 옷에 비유하잖아요. 나와 잘 맞는 옷을 잘 알려면 자신을 객관적으로 잘 봐야 하는 것 같아요.

그런데 아무리 노력해도 스스로를 객관적으로 잘 볼 수가 없어요. 눈이 제 얼굴에 달려 있으니깐요. 거울이 있어도 거울을 보는 시간보다 남들이 저를 보는 시간이 길잖아요. 그래서 항상 거리를 두고 보려 하고, 그걸 인지하려고 노력해요.

연예계 생활을 하면서 만나지 못했던 사람들을 군대에서 만나 대화하면서 깨달은 부분도 있을 것 같아요.
연기 지망생들이 종종 저를 찾아와 연기 고민을 나누고 싶어 했어요. 어느 날, 그 친구들 중 한 명과 같이 당직을 서게 됐는데, 저한테 이런 얘기를 하더라고요. “형을 보면 자수성가한 동네 형 같아”라고요. 그게 뇌리에 꽂혔어요. ‘그게 내 방향이다’라고 깨달았죠. 굉장히 복합적인 단어의 조합인데 딱 제가 듣고 싶은 말이었어요. 정말 신선한 충격을 받았죠..

굉장히 이성적인 성격을 갖고 있죠?

이성적으로 연기를 하는 게 저의 장점이지만 감성적인 부분은 제 취약점이기도 해요. 그래서 마음이 보내는 신호에 집중하는 편이에요. 언어에서도 해방되려고도 노력해요. 예전에는 일목요연하게 말을 다 정리해 인터뷰하려고 했어요. 그래서 기자분들이 수정할 게 별로 없다며 되게 좋아하셨죠. 하하. 지금은 그렇지 않아요. 언어는 완벽하지 못한 매개체라고 생각하게 됐거든요. 좋은 기분을 말할 때 꼭 언어적인 표현이 아닌 동작이나 표정으로 드러내는 게 더 정확할 수 있다란 생각을 해요.

가장 기분 좋은 칭찬은 뭔가요?
제 연기를 보고 구체적인 질문을 하시는 선배님들이 있어요. 그냥 “잘했어”, “멋있더라” 같은 말이 아니라 “그때 그 연기할 때는 어떤 생각을 했어?”라고 물어보시면 제 연기가 진짜 인정받았다는 생각이 들어요. 인간적으로는 말보다는 함께 술자리를 가질 때가 좋아요. 선배님한테 술 한잔하자고 했는데 흔쾌히 좋다고 하시면 기분이 좋아요. 회식 자리가 아니라 사적인 시간을 내서 술자리를 갖는 건 의미가 크거든요. 개인 시간을 저한테 할애해준 거니까요.

단편적이고 표면적이라고 느끼는 칭찬은 잘 안믿는 것 같아요.

“멋있다”, “잘생겼다”란 말은 정말 하기 쉽거든요. 진심일 때도 있지만, 할 말이 없을 때 하는 말이기도 하잖아요. 그래서 상대가 그런 말만 하면 ‘좀 더 자연스러운 대화를 할 수 있도록 내가 노력해야겠다’란 생각을 해요.

지금까지 살면서 했던 가장 나쁜 짓은 뭔가요?

음. 제가 술을 좀 많이 마셔요. 주량은 소주 2병 정도인데, 자주 마시는 편이에요. 군대 가서 술을 못 마시는 게 가장 힘들었어요.

포용할 수 없는 인간상이 있어요?

20대 때는 명확했는데 지금은 모호해졌어요. 저도 완벽하지 않은데, 다른 사람에게는 그 기준치를 너무 높게 잡은 게 아닌가란 생각이 들었어요. 그래서 지금은 어떤 사람이 실수해도 ‘아, 이 사람은 이런 부분이 안 좋구나’라고 받아들이는 편이에요.

임시완이라는 이름 앞에 어떤 형용사가 붙길 바라나요?

‘사람 냄새 나는 사람’이오. 시상식 때도 저는 “어떤 배우 혹은 가수가 되겠습니다”란 말보다는 “어떤 사람이 되겠습니다”라고 말하거든요. 어떤 형용사로 저 스스로를 가두기 싫어요. 아직은 제가 어떤 사람인지 더 찾아가고 싶은 욕망이 큰 것 같아요.

170322 vogue 2017 4月号 卷毛 性感脚踝
몸속이 투명하게 비쳐 보일 정도로 순수한 눈빛, 로맨스를 부르는 중저음 목소리, 전체 그림을 보기 때문에 배어 나오는 매너까지. 사기꾼의 ‘필요충분매력’을 두루 갖춘 두 남자, 진구와 임시완의 퍼펙트 게임.

드라마 <왕은 사랑한다>를 촬영하느라 문경, 속초, 안동, 마산 등지에서 목격되었던 임시완은 거짓말처럼 역삼동 한복판 스튜디오에 등장해 곱게 머리를 말고 있었고, 전날 제작 보고회에서 달콤한 ‘슈가남’ 이미지를 풍기던 진구는 하룻밤 사이 헤어스타일이 곱슬곱슬해졌다. 어제 만나놓고 오랜만이라며 어깨를 두드리던 진구에게 임시완은 “형님, 머리 스타일 바뀌셨네요?”라고 인사를 건넸고 진구는 “너도 바꿨잖아”라고 인사를 받았다.

진구와 임시완의 손발이 착착 맞을수록 빛날 영화는 <원라인>이다. 이들은 사기계의 멘토와 멘티로 출발해 완벽한 한 팀을 이룬다. 임시완은 돈 없는 대학생에서 사기계의 샛별로 떠오르고, 진구는 작업 대출계의 베테랑으로 진면목을 보여준다. 반질반질한 뱀이 임시완이라면, 능수능란한 능구렁이는 진구다. 예고편에서 진구는 <태양의 후예>에서 김지원에게 “너한테서 도망쳤던 모든 시간들을 후회했겠지”라고 말할 때보다 조금 더 진정성 있는 눈빛으로 말한다. “은행에서 돈 받게 도와주는 게 내 ‘잡’이야, 이게 중요한 표현이다. 도.와.준.다.” 임시완은 한술 더 뜬다. <미생>에서 이성민에게 “그래서 저는 꽃밭을 걷고 있나 봅니다”라며 꽃미소를 지었을 때보다 조금 더 싱그럽게 말한다. “제가 주는 대본대로만 하면 ‘돈’이 나옵니다”라고. 전작의 여운으로 여전히 그들의 얼굴로부터 묵묵한 사랑을 하는 남자와 미완의 청년을 읽고 있는 관객에게 씨익 웃으며 선언하는 셈이다. 작품으로 빚어진 배우의 이미지를 순순히 믿지 말라고 말이다.

“변신을 위한 선택은 아니에요. 그냥 대본을 봤을 때 그때그때 흥미로운 지점이 있었어요. 그 당시에 저를 자극하는 뭔가가 있었고 그 지점을 선택해왔던 것 같아요.” 임시완이 영화 <오빠생각> 이후 개봉을 앞두고 있거나 촬영 중인 작품은 셋이다. “<원라인>은 재기 발랄한 느낌이 있어서 마음에 들었어요. <불한당>은 자주 사용된 소재여도 어떻게 풀어나가느냐에 따라 재미있겠다, 참신해 보일 수 있겠다는 생각이 있었는데 감독님이 그 키를 갖고 계실 것 같은 확신이 있었죠. <왕은 사랑한다>의 경우는 윤아가 상대역이라는 점이 많이 컸습니다.(웃음)”

<미생> 이후 여러 작품이라는 선택지를 쥐게 되었지만, 부산대 공대생 선배의 이야기이기 때문에 <변호인> 진우 역할은 자신이 꼭 해야 한다고 양우석 감독에게 고집을 피웠다던 임시완은 조금도 달라지지 않은 듯 보였다. “제가 앞머리를 올렸을 때랑 내렸을 때 이미지가 많이 다르거든요. 변화의 폭이 넓어서 효용 가치가 큽니다. ‘실용성이 있는 배우’로 보이지 않았을까요?” ‘회사가 시켜서’ 작품을 했다며 너스레를 떨던 진구는 양경모 감독 얘길 꺼냈다. “첫인상이 워낙 좋았어요. 학자 스타일인데 이상하게 말이 진짜 잘 통하는 거예요. 글이 좋든 나쁘든, 영화 질이 높건 낮건 이 사람하고 3개월 동안 같이 놀고 싶다는 생각으로 들어갔어요. 알고 보니 K대 의대 출신이더라고요.(웃음)” 진구의 첫인상은 틀리지 않았다. “굉장히 설명 조인데 잔소리가 아니라 정말 좋은 말씀을 듣는 느낌이었어요. 디렉션이 정확하니까 연기할 때도 도움이 많이 됐죠. 날이 갈수록 새로운 발견이었습니다. 아직도 사랑합니다.”

젠틀하고 매너 있게 사기 치기 위해 극 중에서는 수백 번씩 시뮬레이션을 돌렸겠지만, 배우들이 연기하는 데 있어 치밀한 계산 과정은 없었다. “앞서 캐릭터랑 달라야겠다는 생각을 의도적으로 하지 않았어요. 위험한 생각일 수도 있겠지만 기존에 맡았던 캐릭터와 크게 차이가 없어 보일 정도로 경계선을 두지 않았어요. 처음에는 나만 잘하면 되겠구나 생각했다가 그 생각조차 자연스럽게 녹아내렸던 것 같아요.” 힘들었던 점을 묻는 질문에 임시완은 고개를 저었다. 일상과 연기에 경계를 크게 두지 않는 편이라, <원라인>을 촬영할 때는 오히려 사람들과 더 쉽게 친해지고, 더 많이 어울렸단다. “캐릭터에 대해서 진짜 얘기를 많이 했어요. 부모님과 함께 있는 장면이 있는데, 그때 민재가 진짜 모습이겠다 싶더라고요. 엄마가 용돈 하라고 만원인가 2만원인가 쥐여주는 장면이 있어요. 처음에는 차마 그 돈을 못 쓰고 들고 가는 설정이었는데, 들고 가는 척하면서 엄마, 아빠 옷에 넣어주는 게 어떨까라는 생각을 했어요. 감독님께 제안을 드렸고 결국 그렇게 갔던 거 같아요. 마냥 나쁘기 위해 나쁜 짓을 하는 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어요. 그냥 그렇게, 그렇게 캐릭터를 만들어갔던 것 같아요.” 대학생 민재가 사기의 길로 들어선 건 천성이 악해서가 아니다. 돈으로 겪게 되는 문제는 타고난 환경과 사회에서 시작된다. “학생 때는 진짜 돈이 없잖아요. 용돈 받아 쓰거나 아르바이트 해서 쓰거나. 그래 봐야 얼마나 되겠어요. 돌이켜보면 저도 학교 앞에서 1,000원짜리 토스트, 짜장면으로 한 끼를 자주 때웠어요. 맥주는 정말 고급 술이었죠. 항상 소주만 마시고. 안주 많이 축내면 친구들끼리 경계를 했죠.”

진구 역시 연기에 대해 긴 설명을 덧붙이지 않았다. “감독님이 ‘그냥 진구 너 알아서 해’라고 자유를 주셨어요. 평소 제가 쓰던 말투, 걸음걸이, 손버릇 그런 외적인 부분이 많이 분출된 영화예요.” 사기 칠 때 가장 거짓과 꾸밈이 없는 모습이어야 하기에 본연의 모습이 드러나는 역설. <해를 품은 달> 이후 처음으로 잘난 외모를 있는 그대로 뽐낸 임시완의 사기 필수품 역시 ‘세상 물정 모를 것 같은 순수한 눈망울’이란다. 평소 제스처까지 캐릭터에 ‘탈탈’ 털어낸 진구를 두고 양경모 감독은 “스펀지 같은 배우예요. 하나를 이야기하면 쫙 빨아들여서 내뱉어줄 수 있는 배우”라며 뒤에서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사람마다 색깔이 있다면, 나에게 진구는 거칠고 투박한 다갈색을 띤 배우였다. <달콤한 인생>부터 <비열한 거리> <마더> <26년> <명량> <연평해전>까지 그가 연기한 인물들의 잔상이 쌓인 빛깔일 것이다. 인류를 성징에 따라 일렬로 쭉 세웠을 때 남자 쪽 끝에 서 있을 것만 같은 사람. 조물주가 인간을 빚으며 처음 만들어냈을 것 같은 남자 1호. 원초적인 흡입력을 타고난 배우는 심장 끝에서 길어 올린 날것의 감정을 스크린으로 날라오곤 했다. 주연 혹은 조연 같은 역할의 크기는 의식한 적이 없었다. 진구는 흘러가는 서사의 한쪽을 늘 묵묵하고 단단하게 지키고 있었다. 물론 다 <태양의 후예> 전까지 얘기다. “잘된 작품이 거의 다 무거웠죠. 스스로는 무거운 쪽이 더 잘 맞긴 해요. 가벼운 역할을 피하는 건 아닌데 보는 분들도 아직까진 제가 무거운 역할을 하는 걸 편하게 여기는 것 같아요. 제가 잘하는 거니까. 말하자면 박인비 선수가 쇼트트랙을 한다 그러면 처음에 기대는 하겠지만 맨날 꼴등 하면 다음 대회부터는 안 볼 거 아니에요. 다시 골프 필드로 돌아갔을 때 TV를 켜겠지. 그런 거예요.(웃음)” <태양의 후예>로 진구는 제2의 전성기를 맞이했지만 사실 내가 진구를 다시 보게 된 건 그로부터 1년 전 ‘SNL’에 출연했을 때였다. 도라에몽 노진구, 여진구, 부산진구를 이글이글 질투하는 진구는 정말이지 너무 웃겼다. 도라에몽 노진구, 여진구, 부산진구를 인정한 배우라면 칸 영화제 남우주연상을 받아도 한결같으리라는 믿음이 생겼다.

“세상을 보는 눈이 바뀌었다고 할까요? ‘내가 아무리 열심히 해도 안되는 건 안 돼’와 ‘내가 열심히 안 해도 될 건 돼’가 함께 있어요. 물론 노력하죠. 하지만 신인 때처럼 어떤 트레이닝을 하면서 갇혀 살고 싶지 않아요. 제 배우 생활이 청년기와 장년기로 바뀌는 전환점은 <마더>예요. 최고 톱스타 원빈 선배와 최고 베테랑 연기자 김혜자 선배, 최고의 감독 봉준호, 이런 사람들과 함께 일하면서 행복한 줄도 모르고 나만 생각했어요. ‘나 오늘 잘했나? 저 사람들한테 뒤지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되지?’ 그런데 봉준호 감독님이 ‘그럴 필요 없어. 그냥 천천히 해도 너는 따라올 수 있어. 천천히 와’라고 하시더라고요. 그렇게 했더니 그해 영화 시상식에서 조연상이란 조연상은 다 제가 받았어요. <비열한 거리> 때 노미네이트만 되고 떨어진 후로 낭패감에 상‘ 에 연연해 하지 말자’ 했는데. 정말 내 뜻대로 되는 게 없구나. 그다음부터 진짜 아무것도 안 했어요.” 아무것도 안한다는 건 몸과 마음을 백지장으로 만든다는 얘길 것이다. “예전에는 사기꾼이니까 말투를 이렇게 해야 돼, 소품은 안경을 써야 돼 같은 게 있었어요. 하지만 아무것도 안 하니 정말 편해졌어요. 지금은 어떤 옷을 입혀줘도 내 옷 같고 감독님이 손‘ 가락을 이렇게 해’ 했을 때 그 손가락이 정말 제 손가락이 되더라고요.” 비워낸 자에게 기회는 부지불식간에 찾아온다. 얼마 전, 그에게는 미니시리즈 <불야성>의 주인공 자리가 찾아왔다. 지금 받고 싶은 제안이 있다면 과거 작업했던 감독들과 재작업이다. “함께 했던 감독님들과 한 번씩만 더 찍어보고 싶어요. 나의 달라진 모습, 더 좋아진 모습을 보여주고 싶어요. 그때는 몰랐던 것들을 그분들한테 더 배우고 싶습니다.” 기회는 언제 또 어떤 얼굴로 찾아올지 모른다.

연기라고는 배운 적 없기에 백지장을 만들 필요도 없는 임시완은 또 어떤가. 연기를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아 <백지연의 피플 인사이드>에 출연했던 그는 도대체 어떻게 연기를 하느냐는 질문에 잘 모르겠다고, 무식하니까 용감한 것 같다며 머리를 긁적였다. 그의 첫 두 작품 <해를 품은 달> <적도의 남자>는 모두 아역이었다. 단 2부작이었지만 지질한 남자의 역사를 새로 썼던 <연애를 기대해>, 청춘의 자화상으로 남은 <변호인> <미생>, 비로소 어른이라는 이름으로 아이들 앞에 섰던 <오빠생각>까지. 그는 마치 한발 늦게 들어선 작품이라는 세상 속에서 캐릭터와 함께 2배속으로 성장하고 있는 것만 같았다. 물론 재벌가 같은 비현실적 설정을 통과하지 않은 덕분도 있을 것이다. 가만가만 감정을 눌러 담아 삼키는 그의 얼굴은 처연할 때도 있었지만, 전 세계가 정전이 되어도 홀로 빛날 것만 같은 두 눈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희망을 믿게 만들었다. 반짝이는 건 언제나 마음을 움직이는 법이다. 사람들이 임시완에게 공감하게 된 건, 마음 깊숙한 곳에 비관보단 긍정을 바라는 마음이 자리하기 때문일 것이다. 윤태호 작가는 임시완을 두고 “보지 않아도 되는 지점을 보고 있는 듯한 성숙한 청춘”이라 말했다는데, 비범하게 잘생겨도 한 세대를 대변하는 얼굴이 될 수 있음을, 완벽한 자도 미완을 상징할 수 있음을 임시완은 보여줬다. 대학생이 되면 하고 싶은 일은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어른들의 말에 속아 공부만 했던 학창 시절을 지나, 가수로 데뷔했지만 춤으로도 노래로도 부각되지 못했던 청년은 비로소 배우라는 선명한 자아를 얻게 됐다. “연기는 지금 내 인생에서 내가 할 수 있는 유일한 것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어요. 할 줄 아는 게, 밥벌이가 이거밖에 없는 거죠.” 지금, 연기에 임하고 있는 임시완의 진짜 마음이다.

"흥분할 정도는 아냐" 피겨 이해인의 반전, 세계선수권 쇼트 3위…2년 연속 메달 가능성↑

[스포츠조선 김성원 기자, 몬트리올(캐나나)=공동취재단] 피겨 여자 싱글 국가대표 선수들이 나란히 상위권에 오르며 메달 가능성을 높였다.

2회 연속 메달을 노리는 에이스 이해인(고려대)은 21일(이하 한국시각) 캐나다 몬트리올 벨 센터에서 열린 2024 국제빙상경기연맹(ISU) 피겨스케이팅 세계선수권대회 여자 싱글 쇼트프로그램에서 총점 73.55점(기술점수·TES 40.30점·예술점수·PCS 33.25점)을 받아 전체 35명 중 3위에 올랐다.

1위는 76.98점을 받은 루나 헨드릭스(벨기에), 2위는 73.73점을 딴 이사보 레비토(미국)다. 지난해 세계선수권 우승자이자 이번 대회 유력한 우승 후보인 사카모토 가오리(일본)는 트리플 러츠에서 착지 실수를 범해 73.29점으로 4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세계선수권에서 은메달을 목에 걸며 김연아 이후 10년 만에 이 대회 시상대에 오른 이해인은 올 시즌 최고점을 경신했다. 그는 첫 점프 과제인 트리플 러츠-트리플 토루프 콤비네이션을 깔끔하게 뛰며 수행점수(GOE) 1.60점을 받고 기분 좋게 출발했다. 두 번째 점프 과제인 더블 악셀도 순조로웠고, 플라잉 카멜스핀(레벨4)과 트리플 플립을 잇달아 성공시켰다.

이후 체인지 풋 콤비네이션 스핀(레벨4)과 체인지 풋 콤비네이션 스핀(레벨4), 스텝 시퀀스(레벨4)를 모두 최고난도로 소화하는 완벽한 연기를 선보였다.

동반 출전한 유영(경희대)은 총점 67.37점(TES 36.54점·PCS 30.83점)을 받아 5위에 오르며 완벽한 부활을 알렸다. 67.37점은 유영이 쇼트프로그램에서 받은 올 시즌 개인 최고점이다.

김채연(수리고)은 두 번째 수행 과제인 트리플 러츠-트리플 토루프 콤비네이션에서 회전 수 부족으로 0.67점이 깎였지만 총점 66.91을 받아 유영에 이어 6위에 올랐다. 이해인 유영 김채연은 23일 프리스케이팅에 출전한다.

이해인은 "오늘 생각보다는 안 떨렸던 것 같고 그냥 점수나 이런 거 신경 쓰지 말고 '한 개 한 개씩 뛰면서 재밌게 하자' 생각하니까 마음도 편하고 부담감보다는 하나하나 풀어가면 된다 생각하니까 좀 나은 것 같았다. 오늘 하면서 약간 그냥 되게 연습 같았고 점수가 되게 잘 나와서 기쁘다"고 말했다.

4대륙 때 실수했던 점프를 완벽하게 소화한 데 대해선 "회전수 부족을 굉장히 많이 신경 섰다. 작년 후반기처럼은 아직 힘들지도 모르지만 그래도 최대한 비슷하게 만들어보려고 노력을 했다. 그러다 보니까 이제 연습 때도 성공률이 좋게 나왔다. 연습 때 막 덜 돌다가 대회 때 잘 나오면 기쁜데 일관성 있게 연습해서 그런지 점프 뛰고 나서 기쁘긴 했지만 막 흥분할 정도는 아니었다"고 설명했다.

이해인은 이번 시즌 출전한 국제대회마다 저조한 성적으로 마음고생을 했다. 그는 "굉장히 잘 마무리했다는 생각이 든다. 쇼트프로그램을 굉장히 좋아하는데 이렇게 캐나다에서 받은 작품을 캐나다에서 잘 할 수 있어서 너무 좋은 추억이다. 이제 남은 프리스케이팅도 그냥 연습 때처럼 재밌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2년 만에 세계선수권에 출전한 유영은 "굉장히 만족스럽고 너무 즐겁게 관중들과, 심판들한테 연기가 잘 전달된 것 같아서 기쁘다. 처음에 너무 겁을 먹었는데 그래도 스스로 계속 마인드 컨트롤하면서 팬분들이 같이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오늘 이렇게 잘할 수 있었던 것 같다"며 "점수를 듣자마자 더 받을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기도 하고 '인간의 욕심이 끝이 없구나' 생각하면서 그래도 내 자신에게 '오늘 하루 정말 수고했다'라고 얘기해 주고 싶다"고 웃었다.

김채연은 "아침부터 많이 떨려서 조금 걱정했는데 그래도 큰 실수는 안 했긴 하지만 회전 수가 부족해서 점수가 조금 안 나온 것 같아서 좀 아쉽다. 프리에서는 보완해서 더 잘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发布     👍 0 举报 写留言 🖊   
✋热门推荐
  • 据史料记载,距今三千年左右,塞人就生活在伊犁河流域广袤的大地上,他们循着四季的跫音,逐水草而牧,强弓劲马,纵横驰骋,是天山深处这片草原的主人。石块垒筑的石围,历
  • 外海八景酒家藏着一代人的回忆,它家最出名的是粉包和手造烧麦。(via Feekr旅行)在四合院的咖啡厅里做了一场#轻访谈#咖啡店在#南锣鼓巷#附近,但是出了地铁
  • 每天都是哭着上幼儿园的,眼睛一睁就是妈妈我不想上幼儿园我们明天再去上行不行,我说不行,过一会又说妈妈我感冒了不能上幼儿园,我说一点点感冒没关系,然后又说妈妈我们
  • 在一些major之外的课程上总是很用心我能get到古琴(虽然上课坐着腰有点痛,有点废无名指哈哈哈哈)毽球爱上了哈哈哈哈哈 虽然真的不是很会踢哈哈哈哈 希望早日加
  • 生活,总有些无奈,我们都知道,你对自己好,就会变得更出色,螺狮粉在别人眼里,就更有价值。给家里人都打了电话,舅奶奶说让我对自己好点,该吃吃该喝喝,想穿啥就买啥,
  • "因此,有人推断《霍格沃茨之遗》中可能出现一些快速旅行的方式,而「飞路粉」或许就是一种重要的道具。官方提到:  "环境喧嚣的霍格莫德村(Ho
  • #微博亲子季##亿点曝光计划#⚡最近发现的好物:稚优泉粉底液(我买的Y01) 早上起来就浅浅的抹了一点,从七点多开始到现在傍晚六点多不暗沉不出油很服帖!(主要
  • 有许多人以为,打起坐来,什么都不知道就叫做定,那是大昏沉;有许多道家、佛家中,都把大昏沉当作定,我已看了几十年。”观白骨观等等,要注意,你修观时,已经在散乱中了
  • 面对这场没有硝烟的战争,贵阳银行总行团委委员、人力资源部张婧迅速投入到志愿工作中,穿好防护服、带上红袖筒、拿起测温枪,奋战在社区防控一线,协助社区做疫情网格化防
  • #每日一善[超话]#✨#阳光信用# ✨#每日一善# 心善,是一种美德,人善,是一种修养,真善,是一种功德,对人,要有一种诚信,对事,要有一种明白,很多情理之中,
  • 其实只有我自己知道自己的选择,一个人单身过了七八年,我知道自己需要一个什么样的人一起过日子,托尼就是那个温柔体贴、善解人意,能给我幸福快乐的人。是由于喜好他吗照
  • #兑言分享#[兑言品牌洛天执麦]婚期:2018.12.15晚宴酒店:开元大酒店(开元厅)5楼我喜欢你,不是徒有虚名的浮夸,而是恰到好处的温柔.我喜欢你,不是刻意
  • !!
  • #肖战[超话]#[鲜花] #肖战# [给你小心心] #我喜欢肖战# [鲜花]                你不要说我喜欢你,你要说:这夏夜的月色真美 ———[
  • 我们有时以锥心刺骨的疼痛戳中对方,却也明白彼此是最后的退路和护盾,或许我们挽起的手并非坚不可摧,但指尖传递着无穷的安慰。最近一天到晚都觉得缺觉上了一个人的专车—
  • 刘诗诗杨幂靠化妆,张子枫微微一笑让人胆寒我们在网上时,时不时会看见“已黑化”的昵称,让人无法忽视。刘诗诗杨幂靠化妆,张子枫微微一笑让人胆寒我们在网上时,时不时会
  • 我不想只是做朋友,還想做可以在你難過時陪在你身邊,生病時照顧你,做飯給你吃的人,雖然我不是很會煮,哈哈哈~我不知道現在時機是否正確可以跟你說這些,但我還是想表達
  • #重生之门# 我的评分:[星星][星星][星星][星星][星星]重生之门真的很好看,虽然我是螃蟹,或许大家会觉得我只是因为王俊凯,但我要说,剧里的每个演员是很厉
  • 【吐槽】谷好,分享一个又穷又爹的吊人。是19年的事了,最近翻相册看到截图,太好笑了决定分享一下。
  • #任嘉伦[超话]# [打call]rjl#任嘉伦请君# [心] [打call]rjl#任嘉伦陆炎# [心] [打call]rjl#任嘉伦无忧渡# [心] 任嘉